티스토리 뷰

라이프

덕질이란?

dullrawave 2025. 4. 1. 15:37
SMALL
 

덕질이란?

"덕질"은 특정 분야에 대한 열정적인 애호 활동을 뜻하는 한국어 신조어로, 팬덤(Fandom) 문화의 일부입니다. 주로 아이돌, 배우, 애니메이션, 게임, 스포츠,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정 대상(연예인, 캐릭터, 작품 등)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소비하거나 활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
덕질의 유형은 다양하며,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.

  • 굿즈(상품) 소비: 앨범, 포토카드, 피규어, 의류, 공식 MD(머천다이징) 등 구매
  • 콘텐츠 소비: 콘서트, 팬미팅, 드라마/영화/애니 시청, 팬아트 및 팬픽 창작
  • 커뮤니티 활동: 팬카페, SNS, 포럼 등을 통한 정보 공유 및 응원
  • 직접 제작 및 창작: 팬아트, 팬소설, 코스프레, 2차 창작 등

연령대별 덕질의 시장 규모 및 경제적 효과

덕질은 연령과 관심사에 따라 소비 패턴이 다르며, 각 연령층별 시장 규모와 경제적 효과도 다르게 나타납니다.

1. 10대 (Z세대, 13~19세)

  • 주요 덕질 분야: K-POP, 웹툰, 웹소설, 애니메이션, 게임
  • 소비 패턴: 비교적 적은 경제력 → 용돈 소비, 부모 지원, SNS 활용한 비구매형 덕질 (예: 스트리밍, 무료 팬아트 공유)
  • 시장 규모: 10~20대의 K-POP 및 웹툰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2조 원 이상
  • 경제적 효과: 글로벌 K-POP 수출 증가, 스트리밍 서비스 및 MD 소비 증가

2. 2030대 (MZ세대, 2039세)

  • 주요 덕질 분야: K-POP, 드라마, 피규어/굿즈 수집, 콘서트 관람, 명품 브랜드 콜라보
  • 소비 패턴: 자금력이 증가하여 고가의 굿즈 및 한정판 상품 소비 활발, 여행+팬덤(성지순례) 소비
  • 시장 규모: K-POP 팬덤의 경제적 파급력은 연간 10조 원 이상, 드라마 및 OTT 시장 5조 원 이상
  • 경제적 효과: 콘서트 및 팬미팅 해외 수익 증가, 한류 콘텐츠 소비 증가

3. 40대 이상 (X세대 & 베이비붐 세대, 40~60대+)

  • 주요 덕질 분야: 클래식 음악, 트로트, 골프/스포츠, 드라마, 레트로 콘텐츠
  • 소비 패턴: 경제력이 높아 고가의 상품 및 서비스(고급 공연, 유료 팬클럽 가입 등) 소비
  • 시장 규모: 40~50대의 트로트 시장 규모는 약 1조 원 이상, OTT 및 공연 시장 포함 시 3조 원 이상
  • 경제적 효과: 중장년층 대상 공연 및 미디어 소비 증가, 브랜드 및 문화 산업 활성화

덕질의 총 경제적 효과

  • K-POP 산업 전체 규모: 약 12~15조 원 (음반, 공연, 굿즈, OTT, 광고 포함)
  • 덕질 관련 산업 (굿즈, 콘서트, 팬덤 경제 등 포함): 약 20조 원 이상
  • 한류 수출 효과: 한국의 문화 콘텐츠 수출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14조 원

 

연예인 덕질의 사례를 몇 가지 소개할게. K-POP 아이돌, 배우, 트로트 가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팬들이 어떻게 덕질하는지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알아보겠습니다.

1. K-POP 아이돌 덕질 사례

📌 방탄소년단(BTS) 팬덤 '아미(ARMY)'

  • 콘서트 & 팬미팅: 해외 원정 콘서트까지 다니는 팬들도 많아. 2019년 BTS의 'Love Yourself' 월드투어는 62회 공연으로 206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고, 경제적 효과가 1조 원 이상이었어.
  • 굿즈 소비: BTS 공식 굿즈, 앨범, DVD, 피규어, 의류 등 다양한 상품이 판매됨. 한정판 앨범은 수초 만에 매진되는 경우가 많아.
  • SNS 활동: 트위터, 인스타그램, 팬카페에서 BTS 관련 해시태그를 달아 트렌드를 주도함.
  • 기부 문화: 팬들이 멤버 생일이나 데뷔일을 기념해서 기부하는 사례가 많음. 예를 들어, 2021년 BTS 정국의 생일을 맞아 팬들이 환경 단체에 기부한 사례가 있어.

 

2. 배우 덕질 사례

📌 배우 송중기 팬덤

  • 드라마 & 영화 홍보: 팬들이 송중기의 출연작(예: 태양의 후예, 빈센조)이 방영될 때마다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를 띄우거나 해외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조회수를 올려줌.
  • 서포트 문화:
    • 드라마 촬영장에 간식차(커피차, 밥차)를 보내서 배우와 스태프들을 응원함.
    • 2022년 팬들이 송중기의 영화 촬영장에 100인분의 케이터링을 지원한 사례가 있음.
  • 광고 효과: 팬들이 배우가 모델로 활동하는 브랜드 제품을 적극적으로 소비함. 예를 들어, 송중기가 모델이었던 화장품 브랜드 'Forencos'는 해외 팬들의 구매 증가로 매출이 급등했어.

 

3. 트로트 가수 덕질 사례

📌 임영웅 팬덤 '영웅시대'

  • 음원 & 방송 투표 참여: 팬들이 임영웅의 신곡이 발매될 때마다 음원 스트리밍과 유튜브 조회수를 올려줌.
  • 공연 티켓 구매: 2022년 임영웅의 전국 투어 콘서트는 전석 매진을 기록했고, 총 관객 17만 명 이상을 동원함.
  • 팬클럽 기부 문화:
    • 2021년 임영웅 팬들이 그의 생일을 맞아 유니세프에 1억 원 이상 기부.
    • 지역사회에 마스크, 쌀, 장학금 지원 등의 선행을 실천함.

 

4. 해외 연예인 덕질 사례

📌 해리 스타일스(Harry Styles) 팬덤

  • 콘서트 응원 문화: 팬들이 같은 컬러의 옷을 맞춰 입고 콘서트장에서 단체 응원을 펼침.
  • SNS 해시태그 운동: 해리 스타일스가 LGBTQ+ 지지 발언을 했을 때, 팬들이 '#LoveOnTour'라는 해시태그를 달아 큰 화제가 됨.
  • 굿즈 소비: 콘서트에서 판매되는 한정판 굿즈가 몇 분 만에 품절될 정도로 팬들의 구매력이 강함.

 

📌 덕질의 핵심 포인트

  • 팬덤의 단합력: 팬들이 단체로 모여 음원 스트리밍, 투표, 기부, 이벤트 등을 진행함.
  • 경제적 효과: 덕질 문화는 단순한 소비를 넘어서 산업적으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침.
  • 글로벌 확산: SNS와 유튜브를 통해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확장됨.

덕질 문화는 단순한 취미를 넘어서 글로벌 팬덤 경제로 확장되고 있으며, 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경제적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.  😊💜

 

LIST

'라이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비너스의 탄생! 비하인드 스토리  (6) 2025.04.04
바느질 수익으로 토지도 샀대요.  (2) 2025.04.02
반경 타기팅 광고란!  (4) 2025.04.01
석가탄신일!  (4) 2025.04.01
식목일을 아시나요?  (2) 2025.04.01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